728x90
📌 광혈류 측정법 (PPG, Photoplethysmography)
광혈류 측정법(Photoplethysmography, PPG)은 빛을 이용해 혈액의 흐름 변화를 감지하여 심박수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. 스마트워치, 피트니스 밴드, 스마트폰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.
✅ PPG의 원리
PPG는 **광원(LED)과 광 검출기(포토다이오드, Photodetector)**를 이용하여 피부 아래 혈관에서 반사되거나 흡수된 빛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.
- LED가 피부에 빛을 조사(발광)
- 일반적으로 적색(RED) 또는 적외선(IR) 빛을 사용.
- 일부 웨어러블에서는 녹색(Green) LED도 사용.
- 혈액의 흐름에 따라 빛의 반사율 변화
- 심장이 박동하면 혈액이 혈관을 통해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혈류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함.
- 혈류가 많을 때는 빛의 흡수율이 높아지고, 혈류가 적을 때는 빛의 흡수율이 낮아짐.
- 포토다이오드(광 센서)가 반사된 빛을 감지
- 심장 박동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를 분석하여 심박수를 계산.
🔍 PPG에서 사용하는 빛의 종류
빛의 종류사용 목적특징
녹색(Green) LED | 일반적인 심박수 측정 | 피부에서 빛이 잘 반사됨, 얕은 혈관을 감지 |
적색(Red) LED | 혈중 산소포화도(SpO₂) 측정 | 피부 깊은 곳까지 침투 가능 |
적외선(IR) LED | 야간 측정 및 혈류 감지 | 주변 빛의 영향을 덜 받음 |
- **스마트워치(예: Apple Watch, Fitbit, Galaxy Watch)**에서는 주로 녹색 LED를 사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고, 혈중 산소포화도(SpO₂) 측정을 위해 적색 LED와 적외선 LED를 함께 사용함.
🎯 PPG의 장점
✅ 비침습적(Non-invasive) 측정 → 바늘이나 센서를 피부에 삽입하지 않음.
✅ 작고 저렴한 센서 → 웨어러블 기기에 쉽게 적용 가능.
✅ 연속적인 모니터링 가능 → 실시간 심박수 및 건강 데이터 기록 가능.
✅ 운동, 건강 모니터링에 적합 → 스마트워치, 피트니스 밴드에서 활용.
⚠ PPG의 단점 및 오차 원인
🔸 측정 정확도 저하 요소
- 손목 움직임(모션 아티팩트, Motion Artifact)
- 운동 중에는 혈류뿐만 아니라 손목의 움직임도 발생 → 잘못된 신호 감지 가능.
- 해결책: 가속도계(Accelerometer)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노이즈 필터링.
- 피부 색, 문신, 체모 영향
- 어두운 피부, 문신이 있는 경우 빛의 흡수율이 달라져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음.
- 해결책: 다양한 파장의 빛을 활용하여 보정.
- 착용 방식에 따른 차이
- 너무 헐겁거나 너무 조이면 신호가 왜곡될 수 있음.
- 해결책: 적절한 착용 위치 유지.
- 환경광(External Light Noise)
- 강한 태양광, 조명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.
- 해결책: IR 필터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보정.
⚠ PPG의 단점 보안 기술
✅ 1. 모션 아티팩트(Motion Artifact) 보정 기술
문제점: 손목 움직임이 심할 경우(예: 운동 중) PPG 신호에 노이즈가 생겨 정확도가 떨어짐.
해결책:
- 가속도계(Accelerometer) 및 자이로스코프(Gyroscope)와 결합
- 움직임 데이터를 분석해 노이즈를 보정하는 알고리즘 적용.
- 예: Apple Watch, Fitbit 등의 웨어러블 기기에서 사용.
- 머신러닝을 활용한 신호 필터링
- 노이즈가 포함된 데이터와 정상 데이터를 구별하는 AI 모델 적용.
- 삼성, 애플 등의 스마트워치에서 개선된 필터링 기술 사용.
✅ 2. 다중 파장 LED 사용
문제점: 피부 색, 문신, 체모 등의 영향을 받아 빛의 흡수율이 달라질 수 있음.
해결책:
- 다양한 파장의 LED(녹색, 적색, 적외선) 사용
- 피부 깊숙이 침투하는 적외선(IR)을 추가로 사용하여 보정.
- 혈류 반응이 다른 색상의 LED를 혼합해 신호 품질 향상.
- 예: Apple Watch의 SpO₂(산소포화도) 측정 기능이 적색/적외선 LED를 활용.
- 멀티 센서 기술 활용
- 피부 상태에 따라 최적의 파장을 선택하는 알고리즘 적용.
✅ 3. PPG + ECG(심전도) 결합
문제점: PPG는 부정맥 등 심장 이상 감지를 정확하게 하기 어려움.
해결책:
- ECG(심전도) 센서를 함께 사용하여 정밀한 심박수 측정
- ECG는 심장의 전기 신호를 직접 측정하므로 더 높은 정확도 제공.
- PPG와 ECG를 결합하면 부정맥, 심방세동 등 심장 질환 감지가 가능.
- 예: Apple Watch, Samsung Galaxy Watch의 ECG 기능.
✅ 4. 혈압 및 혈류 속도 추정 기술
문제점: PPG만으로는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움.
해결책:
- PPG + AI 기반 혈압 예측 알고리즘
- 기존의 혈압 데이터와 PPG 신호를 비교하여 혈압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 적용.
- 예: 삼성 갤럭시 워치는 PPG를 활용한 혈압 측정 기능을 지원.
- PPG + 맥파 전파 속도(PWV, Pulse Wave Velocity) 분석
- 맥박이 이동하는 속도를 측정해 혈압을 간접적으로 계산.
✅ 5. 비접촉 방식 센서 적용
문제점: 피부 접촉이 필요한 센서 방식은 정확도가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.
해결책:
- 레이더 기반 심박수 측정 (mmWave 센서)
- Google의 Soli 레이더(60GHz mmWave) 같은 비접촉식 심박수 측정 기술 연구 중.
- 피부에 직접 착용하지 않아도 심장 박동 감지가 가능.
🏋️ PPG가 사용되는 주요 웨어러블 기기
기기심박수 측정 방식
Apple Watch | 녹색 LED + 적색 LED + 적외선 |
Samsung Galaxy Watch | 녹색 LED + 적색 LED |
Fitbit | 녹색 LED + 적외선 |
Garmin | 녹색 LED + 적색 LED |
Xiaomi Mi Band | 녹색 LED |
- 대부분의 최신 스마트워치는 ECG(심전도) 센서와 결합하여 보다 정확한 건강 모니터링을 지원함.
💡 PPG의 확장 응용 분야
PPG 기술은 심박수 측정을 넘어 건강 및 의료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용됩니다.
✅ 1. 혈중 산소포화도(SpO₂) 측정
- 적색 및 적외선 LED를 이용해 혈액 내 산소포화도를 분석.
- 산소 부족 상태(저산소증) 감지 가능.
- 웨어러블 기기뿐만 아니라 병원에서도 사용.
✅ 2. 심박 변이도(HRV, Heart Rate Variability) 분석
- 심박수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스트레스 수준 및 신체 회복 상태 평가.
- 피로도 및 운동 후 회복 상태 모니터링.
✅ 3. 혈압 측정(진행 중)
- 현재 일부 연구에서 PPG를 이용한 혈압 측정 기술 개발 중.
- 삼성 갤럭시 워치 일부 모델에서 PPG 기반 혈압 측정을 지원.
✅ 4. 수면 모니터링
- 수면 중 심박수 변화를 분석하여 수면의 질 평가.
- 얕은 수면, 깊은 수면, 렘(REM) 수면 단계 감지.
🚀 미래의 PPG 기술 발전 방향
- AI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정확도 향상
- 가속도계 데이터를 활용해 움직임 보정.
- 피부 색, 문신 영향을 최소화하는 알고리즘 개발.
- 멀티파장 LED 활용
- 녹색, 적색, 적외선을 함께 사용해 피부 조건에 따른 측정 오류 보정.
- 심전도(ECG)와 결합
- PPG + ECG를 함께 활용해 보다 정확한 심박수 측정 및 부정맥 감지 가능.
- 비침습적 혈압 측정 연구
- 기존의 커프 방식이 아닌, PPG 센서만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기술 개발 중.
🔥 정리
- **PPG(광혈류 측정법)**은 빛을 이용해 혈류 변화를 감지하여 심박수를 측정하는 기술.
- 스마트워치, 피트니스 밴드, 스마트폰 카메라 등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에서 사용됨.
- 운동, 건강 모니터링, 수면 분석, 혈중 산소포화도 측정 등에 활용됨.
- 모션 아티팩트, 피부 색, 착용 방식 등으로 인해 측정 오차 발생 가능하지만 AI 및 보정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점 정확도가 향상되고 있음.
728x90
'소소한정보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광대역 UWB(Ultra-Wideband) 이란? (1) | 2025.03.04 |
---|---|
양자컴퓨터란? 응용분야와 개발 주도 주체를 알아보자 (2) | 2025.02.27 |
호두의 효능 및 섭취방법, 부작용 , 보관방법을 알아보자 (0) | 2025.02.26 |
IoT(사물인터넷, Internet of Things)란? 동작 원리및 사례 (0) | 2025.02.25 |
웨어러블(Wearable)의 뜻과 주요 특징 (1) | 2025.02.21 |